> 평판지수소식 > 공공 브랜드평판지수

공공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2023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서울시, 2위 부산시, 3위 제주도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3-06-28 07:11

본문

2ef927411240366a02e845805cb65e1a_1687903878_0382.jpg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 2023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서울시 2위 부산시 3위 제주도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17개 브랜드에 대해 브랜드 평판조사를 하였다.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에 대한 지난 한달간 빅데이터 평판을 분석하였는데 2023년 5월 28일부터 2023년 6월 28일까지의 17개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빅데이터 110,120,387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 분석을 하였다. 지난 5월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빅데이터 96,491,676개와 비교하면 14.12% 증가했다.

​광역자치단체 브랜드는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지방자치법 제2조 1항이 정하는 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를 가리킨다. 광역자치단체는 대한민국 정부 직할이고, 기초자치단체 중 시(市)는 도(道)의 관할구역 안에, 군(郡)은 광역시·도의 관할구역 안에, 자치구(自治區)는 특별시·광역시 안에 들어간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하였다. ​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2ef927411240366a02e845805cb65e1a_1687903889_2396.jpg
 

2023년 6월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 순위는 서울, 부산, 제주, 충남, 대구, 경기, 울산, 강원, 인천, 광주, 대전, 전북, 세종, 경북, 경남, 충북, 전남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서울 브랜드는 참여지수 5,552,793 미디어지수 4,220,162 소통지수 4,856,216 커뮤니티지수 2,300,902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6,930,073으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9,024,970과 비교해보면 87.59% 상승했다.​

2위, 부산 브랜드는 참여지수 5,568,027 미디어지수 4,719,886 소통지수 4,358,741 커뮤니티지수 1,725,32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6,371,974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4,338,166과 비교해보면 14.18% 상승했다.​

3위, 제주 브랜드는 참여지수 3,701,519 미디어지수 2,213,065 소통지수 2,606,554 커뮤니티지수 2,861,96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1,383,103으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2,474,656과 비교해보면 8.75% 하락했다.​

4위, 충남 브랜드는 참여지수 2,473,016 미디어지수 2,411,437 소통지수 3,374,019 커뮤니티지수 2,255,0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0,513,544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4,011,383과 비교해보면 162.09% 상승했다.​

5위, 대구 브랜드는 참여지수 3,367,080 미디어지수 1,837,355 소통지수 2,541,063 커뮤니티지수 1,654,32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399,819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4,513,242와 비교해보면 108.27% 상승했다.​

2ef927411240366a02e845805cb65e1a_1687903901_455.jpg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 2023년 6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서울 ( 시장 오세훈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5월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빅데이터 96,491,676개와 비교하면 14.12%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6.49% 상승, 브랜드이슈 4.28% 상승, 브랜드소통 15.64% 상승, 브랜드확산 52.55%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광역자치단체 브랜드에 대한 평판분석을 진행하면서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가치평가와 광역자치단체 브랜드에 대한 브랜드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