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판지수소식 > 공공 브랜드평판지수

공공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2023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부산시, 2위 제주도, 3위 서울시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3-03-28 07:54

본문

fc39bfdcf5c34441e3a0ceeb52ef8a1f_1679957664_4043.jpg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 2023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부산시 2위 제주도 3위 서울시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17개 브랜드에 대해 브랜드 평판조사를 하였다.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에 대한 지난 한달간 빅데이터 평판을 분석하였는데 2023년 2월 28부터 2023년 3월 28일까지의 17개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빅데이터 83,621,013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 분석을 하였다. 지난 2월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빅데이터 117,895,486개와 비교하면 29.07% 줄어들었다.

​광역자치단체 브랜드는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지방자치법 제2조 1항이 정하는 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를 가리킨다. 광역자치단체는 대한민국 정부 직할이고, 기초자치단체 중 시(市)는 도(道)의 관할구역 안에, 군(郡)은 광역시·도의 관할구역 안에, 자치구(自治區)는 특별시·광역시 안에 들어간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하였다. ​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fc39bfdcf5c34441e3a0ceeb52ef8a1f_1679957674_4853.jpg
 

2023년 3월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 순위는 부산, 제주, 서울, 대구, 경기, 충남, 광주, 대전, 울산, 인천, 강원, 경남, 전북, 경북, 충북, 전남, 세종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부산 브랜드는 참여지수 3,255,364 미디어지수 3,082,899 소통지수 3,107,153 커뮤니티지수 2,339,33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1,784,750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15,612,466과 비교해보면 24.52% 하락했다.​

2위, 제주 브랜드는 참여지수 2,988,060 미디어지수 2,603,239 소통지수 4,042,274 커뮤니티지수 1,648,46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1,282,036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18,788,674와 비교해보면 39.95% 하락했다.​

3위, 서울 브랜드는 참여지수 2,726,886 미디어지수 2,338,268 소통지수 1,287,160 커뮤니티지수 1,232,08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584,396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9,780,349와 비교해보면 22.45% 하락했다.​

4위, 대구 브랜드는 참여지수 3,607,919 미디어지수 1,397,873 소통지수 1,158,069 커뮤니티지수 1,292,20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456,068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12,551,809와 비교해보면 40.60% 하락했다.​

5위, 경기 브랜드는 참여지수 2,665,950 미디어지수 1,775,959 소통지수 1,639,395 커뮤니티지수 880,68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961,990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5,668,598과 비교해보면 22.82% 상승했다.​

fc39bfdcf5c34441e3a0ceeb52ef8a1f_1679957684_2067.jpg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 2023년 3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부산 ( 시장 박형준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2월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빅데이터 117,895,486개와 비교하면 29.07%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5.99% 하락, 브랜드이슈 36.68% 하락, 브랜드소통 39.19% 하락, 브랜드확산 21.79%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광역자치단체 브랜드에 대한 평판분석을 진행하면서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가치평가와 광역자치단체 브랜드에 대한 브랜드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