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판지수소식 >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 대기업집단 브랜드 2025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한화, 2위 삼성, 3위 현대자동차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5-03-09 16:47

본문

ebee163b48242149c09c4ec84977b4b3_1741506444_2591.jpg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2025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한화 2위 삼성 3위 현대자동차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5년 2월 10일부터 2025년 3월 10일까지의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01,824,482개를 분석하여 대기업집단의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사회공헌, 소비자지수, ESG를 분석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측정하였다. 지난 2월 브랜드 빅데이터 125,072,294개와 비교하면 18.59% 줄어들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소셜가치, 사회가치로 분류하고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브랜드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해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왜,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에서는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 소비자지수, ESG지수로 브랜드평판지수를 분석하였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분석한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평가에는 사회공헌지표와 소비자지표, ESG지표를 중심으로 정성적인 평가를 강화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오너 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ebee163b48242149c09c4ec84977b4b3_1741506450_1048.jpg
 


2025년 3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한화, 삼성, 현대자동차, LG, 농협, SK, 두산, 쿠팡, CJ, 롯데, 네이버, GS, KT, 포스코, 미래에셋, 메리츠금융, 카카오, 현대백화점, 대림, 한진, 효성, 한국타이어, LS, 한라, 이랜드, 신세계, 아모레퍼시픽, 한국투자금융, 코오롱, KCC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한화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3,206,439 소통지수 2,112,955 커뮤니티지수 3,650,072 사회공헌지수 89,483 소비자지수 280,828 ESG지수 194,98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534,758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10,171,319와 비교해보면 6.26% 하락했다.​

2위, 삼성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532,916 소통지수 3,033,921 커뮤니티지수 3,718,371 사회공헌지수 94,245 소비자지수 833,361 ESG지수 250,44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463,256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8,476,755와 비교해보면 11.64% 상승했다.​

3위, 현대자동차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2,722,955 소통지수 2,159,629 커뮤니티지수 2,023,006 사회공헌지수 76,580 소비자지수 56,662 ESG지수 146,36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185,194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8,533,570과 비교해보면 15.80% 하락했다.​

4위, LG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613,764 소통지수 1,565,334 커뮤니티지수 2,797,968 사회공헌지수 47,560 소비자지수 271,908 ESG지수 141,30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437,842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9,108,195와 비교해보면 29.32% 하락했다.​

5위, 농협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559,683 소통지수 2,153,699 커뮤니티지수 1,086,764 사회공헌지수 67,166 소비자지수 48,608 ESG지수 512,21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428,132로 분석됐다. 지난 2월 브랜드평판지수 6,661,465와 비교해보면 18.51% 하락했다.​

ebee163b48242149c09c4ec84977b4b3_1741506461_1099.jpg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대기업 집단 브랜드평판 2025년 3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한화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대기업 집단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2월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25,072,294개와 비교하면 18.59%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이슈 11.36% 하락, 브랜드소통 19.81% 하락, 브랜드확산 13.78% 하락, 브랜드공헌 16.65% 상승, 브랜드소비 59.81% 하락, ESG지수 39.09%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는 브랜드평판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브랜드 빅데이터를 소비자행동으로 세분화하여 브랜드 평판지수를 파악했다. 이번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66개 대기업집단에 대해서 2025년 2월 10일부터 2025년 3월 10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2025년 3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을 분석한 대기업집단 브랜드는 한화, 삼성, 현대자동차, LG, 농협, SK, 두산, 쿠팡, CJ, 롯데, 네이버, GS, KT, 포스코, 미래에셋, 메리츠금융, 카카오, 현대백화점, 대림, 한진, 효성, 한국타이어, LS, 한라, 이랜드, 신세계, 아모레퍼시픽, 한국투자금융, 코오롱, KCC, HD현대중공업, 넥슨, DB, 셀트리온, 대우건설, 영풍, 동원, 넷마블, 부영, HDC현대산업개발, KT & G, 세아, 하림, 애경, SM, 교보생명보험, 태광, OCI, 한국 GM, 하이트진로, 한국항공우주산업, 삼천리, 동국제강, 호반건설, 대방건설, 에쓰 오일, 유진 그룹, 한솔, 금호석유화학, 현대해상화재보험, 중흥건설, HJ중공업, 다우키움, 태영, 엠디엠, 반도홀딩스 이다.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