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판지수소식 >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2024년 1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부산시, 2위 대전시, 3위 제주도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4-11-26 00:15

본문

69ed5eae4e0de56ea4052b498899b551_1732547733_6593.jpg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 2024년 1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부산시 2위 대전시 3위 제주도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17개 브랜드에 대해 브랜드 평판조사를 하였다.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에 대한 지난 한달간 빅데이터 평판을 분석하였는데 2024년 10월 26일부터 2024년 11월 26일까지의 17개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빅데이터 65,485,048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 분석을 하였다. 지난 10월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빅데이터 90,882,139개와 비교하면 27.95% 줄어들었다.

​광역자치단체 브랜드는 대한민국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지방자치법 제2조 1항이 정하는 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시·특별자치도를 가리킨다. 광역자치단체는 대한민국 정부 직할이고, 기초자치단체 중 시(市)는 도(道)의 관할구역 안에, 군(郡)은 광역시·도의 관할구역 안에, 자치구(自治區)는 특별시·광역시 안에 들어간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하였다. ​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69ed5eae4e0de56ea4052b498899b551_1732547744_4044.jpg
 


2024년 11월 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 순위는 부산, 대전, 제주, 서울, 광주, 대구, 경기, 인천, 울산, 강원, 전북, 충남, 충북, 경남, 경북, 전남, 세종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부산 브랜드는 참여지수 2,754,847 미디어지수 2,540,611 소통지수 2,527,497 커뮤니티지수 1,577,97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400,927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9,735,486과 비교해보면 3.44% 하락했다.​

2위, 대전 브랜드는 참여지수 2,633,309 미디어지수 1,818,214 소통지수 2,244,591 커뮤니티지수 1,220,21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916,326으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11,664,250과 비교해보면 32.13% 하락했다.​

3위, 제주 브랜드는 참여지수 1,956,494 미디어지수 1,870,502 소통지수 2,091,741 커뮤니티지수 1,840,42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759,158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9,225,297과 비교해보면 15.89% 하락했다.​

4위, 서울 브랜드는 참여지수 1,180,635 미디어지수 1,044,744 소통지수 1,898,740 커뮤니티지수 1,853,70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977,822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10,228,520과 비교해보면 41.56% 하락했다.​

5위, 광주 브랜드는 참여지수 1,119,699 미디어지수 1,877,127 소통지수 1,277,550 커뮤니티지수 1,440,17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714,556으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6,610,148과 비교해보면 13.55% 하락했다.​

69ed5eae4e0de56ea4052b498899b551_1732547753_9091.jpg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광역자치단체 브랜드평판 2024년 11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부산 ( 시장 박형준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10월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빅데이터 90,882,139개와 비교하면 27.95%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34.21% 하락, 브랜드이슈 28.30% 하락, 브랜드소통 30.24% 하락, 브랜드확산 11.69%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광역자치단체 브랜드에 대한 평판분석을 진행하면서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가치평가와 광역자치단체 브랜드에 대한 브랜드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