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평판] 대기업집단 브랜드 2025년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한화, 2위 롯데, 3위 삼성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5-05-08 23:39본문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2025년 5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한화 2위 롯데 3위 삼성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5년 4월 9일부터 2025년 5월 9일까지의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17,812,365개를 분석하여 대기업집단의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사회공헌, 소비자지수, ESG를 분석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측정하였다. 지난 4월 브랜드 빅데이터 131,062,299개와 비교하면 10.11% 줄어들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소셜가치, 사회가치로 분류하고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브랜드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해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왜,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에서는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 소비자지수, ESG지수로 브랜드평판지수를 분석하였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분석한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평가에는 사회공헌지표와 소비자지표, ESG지표를 중심으로 정성적인 평가를 강화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오너 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5년 5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한화, 롯데, 삼성, SK, LG, 농협, 현대자동차, 쿠팡, 두산, HD현대중공업, 네이버, SM, GS, 미래에셋, 한국투자금융, 포스코, KT, 신세계, CJ, 코오롱, 한진, 아모레퍼시픽, 동원, 한라, LS, 효성, 현대백화점, 넥슨, 카카오, KCC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한화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848,345 소통지수 2,064,008 커뮤니티지수 5,029,192 사회공헌지수 35,358 소비자지수 236,651 ESG지수 191,84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405,403으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7,240,997과 비교해보면 29.89% 상승했다.
2위, 롯데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424,534 소통지수 2,670,636 커뮤니티지수 3,997,572 사회공헌지수 53,010 소비자지수 591,868 ESG지수 134,85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872,478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4,161,262와 비교해보면 113.22% 상승했다.
3위, 삼성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560,811 소통지수 2,884,793 커뮤니티지수 2,516,438 사회공헌지수 24,254 소비자지수 896,226 ESG지수 237,57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120,095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11,512,950과 비교해보면 29.47% 하락했다.
4위, SK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419,468 소통지수 2,609,141 커뮤니티지수 2,982,385 사회공헌지수 46,293 소비자지수 201,367 ESG지수 151,61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410,271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6,957,933과 비교해보면 6.50% 상승했다.
5위, LG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648,587 소통지수 2,245,001 커뮤니티지수 2,149,122 사회공헌지수 42,778 소비자지수 694,151 ESG지수 133,56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913,204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10,477,829와 비교해보면 34.02%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대기업 집단 브랜드평판 2025년 5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한화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대기업 집단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4월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31,062,299개와 비교하면 10.11%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이슈 9.13% 하락, 브랜드소통 5.04% 하락, 브랜드확산 8.62% 하락, 브랜드공헌 28.52% 하락, 브랜드소비 30.19% 하락, ESG지수 0.52%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는 브랜드평판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브랜드 빅데이터를 소비자행동으로 세분화하여 브랜드 평판지수를 파악했다. 이번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66개 대기업집단에 대해서 2025년 4월 9일부터 2025년 5월 9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2025년 5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을 분석한 대기업집단 브랜드는 한화, 롯데, 삼성, SK, LG, 농협, 현대자동차, 쿠팡, 두산, HD현대중공업, 네이버, SM, GS, 미래에셋, 한국투자금융, 포스코, KT, 신세계, CJ, 코오롱, 한진, 아모레퍼시픽, 동원, 한라, LS, 효성, 현대백화점, 넥슨, 카카오, KCC, 이랜드, 대림, 한국타이어, HDC현대산업개발, 넷마블, DB, 셀트리온,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우건설, 영풍, 한국 GM, 부영, 삼천리, 태영, 메리츠금융, 하림, 하이트진로, KT & G, 세아, 호반건설, OCI, 태광, 현대해상화재보험, 교보생명보험, 대방건설, 금호석유화학, 유진 그룹, 에쓰 오일, 동국제강, 중흥건설, HJ중공업, 한솔, 다우키움, 애경, 반도홀딩스, 엠디엠 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