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평판]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 2025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서울시, 2위 부산시, 3위 대전시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5-06-21 21:24본문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 2025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서울시 2위 부산시 3위 대전시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대한민국 도시에 대해 브랜드 평판조사를 하였다.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에 대한 지난 한달간 빅데이터 평판을 분석하였는데 2025년 5월 23일부터 2025년 6월 23일까지의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61,974,138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습관과 평판을 분석하였다. 지난 5월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61,863,490개와 비교하면 0.18% 증가했다.
도시 브랜드는 대한민국의 시(市)에 대한 브랜드를 분석한 것으로, 1949년 8월 15일 19개의 부(府)를 일괄 개칭하여 탄생되었다. 다음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광역자치단체인 특별시, 기초자치단체인 시, 특별자치도의 하부 행정 구역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행정시가 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하였다. 도시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거버넌스(governance) 분석을 가중치로 포함했다. 거버넌스(governance)는 일방적인 정부 주도적 경향에서 벗어나 정부, 기업, 비정부기구 등 다양한 행위자가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말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2025년 6월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서울시, 부산시, 대전시, 세종시, 광주시, 인천시, 수원시, 제주시, 화성시, 용인시, 청주시, 천안시, 성남시, 부천시, 울산시, 시흥시, 전주시, 고양시, 파주시, 경기 광주시, 남양주시, 안산시, 포항시, 대구시, 경주시, 평택시, 안양시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서울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248,913 미디어지수 1,151,150 소통지수 1,390,480 커뮤니티지수 2,488,74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279,290으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3,936,780과 비교해보면 34.10% 상승했다.
2위, 부산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119,935 미디어지수 372,915 소통지수 846,753 커뮤니티지수 1,245,13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584,742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2,268,189와 비교해보면 13.96% 상승했다.
3위, 대전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153,558 미디어지수 271,568 소통지수 602,832 커뮤니티지수 1,153,99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181,950으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2,379,380과 비교해보면 8.30% 하락했다.
4위, 세종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219,684 미디어지수 378,913 소통지수 507,046 커뮤니티지수 869,4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975,115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646,855와 비교해보면 19.93% 상승했다.
5위, 광주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69,413 미디어지수 330,951 소통지수 342,846 커뮤니티지수 932,14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675,355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681,383과 비교해보면 0.36%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도시 브랜드평판 2025년 6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서울시 ( 시장 오세훈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도시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5월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61,863,490개와 비교하면 0.18%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9.34% 하락, 브랜드이슈 1.48% 하락, 브랜드소통 0.76% 하락, 브랜드확산 4.61%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 는 도시 브랜드에 대한 평판분석을 진행하면서 굿거버넌스연구원 거버넌스 분석을 포함하여 도시브랜드에 대한 브랜드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이번 도시 브랜드 평판지수는 2025년 5월 23일부터 2025년 6월 23일까지의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2025년 6월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 분석 순위는 서울시, 부산시, 대전시, 세종시, 광주시, 인천시, 수원시, 제주시, 화성시, 용인시, 청주시, 천안시, 성남시, 부천시, 울산시, 시흥시, 전주시, 고양시, 파주시, 경기 광주시, 남양주시, 안산시, 포항시, 대구시, 경주시, 평택시, 안양시, 김포시, 구미시, 진주시, 창원시, 광명시, 김해시, 하남시, 서귀포시, 양산시, 원주시, 양주시, 아산시, 춘천시, 의정부시, 구리시, 공주시, 여수시, 강릉시, 안동시, 이천시, 충주시, 순천시, 포천시, 동해시, 오산시, 군산시, 안성시, 거제시, 익산시, 경산시, 과천시, 의왕시, 군포시, 서산시, 여주시, 당진시, 상주시, 영주시, 목포시, 사천시, 나주시, 보령시, 광양시, 제천시, 통영시, 김천시, 속초시, 영천시, 밀양시, 논산시, 남원시, 계룡시, 문경시, 삼척시, 동두천시, 정읍시, 김제시, 태백시 순이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