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판지수소식 >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지수

[브랜드평판] 대기업집단 브랜드 2024년 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 2위 LG, 3위 현대자동차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4-01-07 17:03

본문

582138ebd9301646f189746bfb264f6c_1704614559_7818.jpg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2024년 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 2위 LG 3위 현대자동차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3년 12월 8일부터 2024년 1월 8일까지의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51,019,982개를 분석하여 대기업집단의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사회공헌, 소비자지수, ESG를 분석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측정하였다. 지난 12월 브랜드 빅데이터 148,453,881개과 비교하면 1.73% 증가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소셜가치, 사회가치로 분류하고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브랜드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해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왜,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에서는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 소비자지수, ESG지수로 브랜드평판지수를 분석하였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분석한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평가에는 사회공헌지표와 소비자지표, ESG지표를 중심으로 정성적인 평가를 강화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오너 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582138ebd9301646f189746bfb264f6c_1704614566_7119.jpg
 


2024년 1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 LG, 현대자동차, 농협, 롯데, SK, 한화, 쿠팡, 네이버, GS, CJ, 신세계, DB, 두산, 하림, KT, 현대백화점, 미래에셋, 포스코, 한국투자금융, 카카오, KT & G, 한진, 넥슨, 코오롱, 대림, HDC현대산업개발, 동원, 영풍, 효성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삼성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3,958,688 소통지수 3,792,934 커뮤니티지수 4,046,082 사회공헌지수 1,825,963 소비자지수 2,356,329 ESG지수 184,91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6,164,908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5,380,331과 비교해보면 5.10% 상승했다.​

2위, LG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3,290,313 소통지수 3,483,085 커뮤니티지수 3,983,209 사회공헌지수 1,231,335 소비자지수 1,711,200 ESG지수 183,61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3,882,752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5,068,386과 비교해보면 7.87% 하락했다.​

3위, 현대자동차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647,742 소통지수 1,573,934 커뮤니티지수 1,564,185 사회공헌지수 1,215,233 소비자지수 2,101,774 ESG지수 165,65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268,525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4,177,987과 비교해보면 41.68% 하락했다.​

4위, 농협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365,773 소통지수 1,423,623 커뮤니티지수 1,234,770 사회공헌지수 2,002,114 소비자지수 1,919,365 ESG지수 80,58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026,230으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6,259,264와 비교해보면 28.23% 상승했다.​

5위, 롯데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101,439 소통지수 1,850,037 커뮤니티지수 968,743 사회공헌지수 1,491,896 소비자지수 1,327,533 ESG지수 70,31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809,961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7,189,279와 비교해보면 5.28% 하락했다.​

582138ebd9301646f189746bfb264f6c_1704614576_3793.jpg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대기업 집단 브랜드평판 2024년 1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삼성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대기업 집단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12월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48,453,881개와 비교하면 1.73%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이슈 2.80% 상승, 브랜드소통 3.24% 하락, 브랜드확산 12.86% 하락, 브랜드공헌 33.50% 상승, 브랜드소비 9.61% 상승, ESG지수 17.07%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는 브랜드평판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브랜드 빅데이터를 소비자행동으로 세분화하여 브랜드 평판지수를 파악했다. 이번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66개 대기업집단에 대해서 2023년 12월 8일부터 2024년 1월 8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2024년 1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을 분석한 대기업집단 브랜드는 삼성, LG, 현대자동차, 농협, 롯데, SK, 한화, 쿠팡, 네이버, GS, CJ, 신세계, DB, 두산, 하림, KT, 현대백화점, 미래에셋, 포스코, 한국투자금융, 카카오, KT & G, 한진, 넥슨, 코오롱, 대림, HDC현대산업개발, 동원, 영풍, 효성, 대우건설, LS, HD현대중공업, 아모레퍼시픽, KCC, 이랜드, 한라, 한솔, SM, 한국항공우주산업, 넷마블, 셀트리온, 애경, 메리츠금융, 한국 GM, 하이트진로, 교보생명보험, 부영, 세아, 태영, 태광, 금호석유화학, 한국타이어, 현대해상화재보험, 삼천리, 호반건설, 대방건설, 유진, OCI, 동국제강, 중흥건설, 한진중공업, 에쓰 오일, 다우키움, 반도홀딩스, 엠디엠 이다.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